시중에 높은 금리를 가진 예적금 상품이 등장하자 많은 분들이 갈아타는 추세입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청년희망적금해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재가입부터 중도해지 시 이율은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까지 알아보겠습시다.
청년희망적금 해지 방법
방법은 총 2가지로 자신이 개설한 은행 영업점에 방문하여 직접 해지하는 방법과 모바일 어플 혹은 홈페이지에서 해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해지하는 방법은 자신이 가입한 적금을 조회한 뒤 해지 신청 버튼을 눌러주시기만 하면 간단하게 처리가 됩니다.
온라인으로 하기 불편하신 분들이라면 적금을 신청하신 각 은행 영업점에 방문하여 직접 해지를 하셔야 됩니다.
하지만, 은행점에 대기 인원이 많은 경우 상당한 시간을 기다려야 되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어플을 이용하여 빠르게 해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만약 kb국민은행으로 계좌를 만드셨다면 꼭 같은 은행어플이 이용해서 해지 신청을 해주셔야 됩니다.
다른 은행으로 하면 안돼요.
청년희망적금 해지 후 재가입
초창기에는 청년희망적금을 해지를 한 후 다시 재가입도 가능했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신청을 받지 않는 상품이므로 재가입이 될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이 듭니다.
섣불리 해지하시는 것을 추천드리지 않으며, 만약 내년에 출시될 청년 도약 계좌까지 기다리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청년 도약 계좌는 이미 다른 예적금 상품을 가입한 상태라면 가입이 불가능하고, 재가입을 원하신다면 모든 예적금 상품을 해지된 상태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청년 도약 계좌는 기존에 출시된 상품보다 더 큰 혜택을 가지고 출시될 계획이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청년희망적금 중도해지이율
해지를 하게 될 경우 중도해지율에 따르게 되는데 이는 만기 시 얻게 되는 이율보다 적은 수치여서 가입하신 분께 일반적으로 손해입니다.
하지만, 해지 후 다른 적금상품으로 재가입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해지를 하는 경우가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각 은행사마다 기간별로 중도해지 이율이 조금씩 다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입한 지 3개월 기준으로 살펴보았을 때 kb 국민은행이 50%로 가장 많은 금리를 획득하실 수 있고
9개월을 기준이면 신한은행으로 80%를 챙겨가실 수 있습니다.
즉, 적금을 가입한 지 짧은 기간일수록 kb국민은행이 좋고, 반대로 길수록 신한은행이 해지하는 편이 좋습니다.
그래서 대부분 1년 정도 적금을 하시고 탈퇴 후 다시 재가입을 했었는데 현재는 신청을 받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재가입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혹시라도 아직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시지 않은 분들이라면, 내년에 출시될 청년 도약 계좌를 기다리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만일 해지를 하고 싶은 경우라도 재가입이 안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만기까지 이어 나가시길을 권장드립니다.
📌 같이 읽으면 좋은글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능할까?
목돈 5000만 원을 만들 수 있어 현재 난리 난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이 중복 가입 여부와 갈아타기는 가능할지 알아보고, 두 상품 간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아서 어느 것을 가입하는 게
anytalking.tistory.com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팀목 전세 자금 대출 무직일경우는? (0) | 2022.08.24 |
---|---|
카뱅 모임 통장 개설부터 해지까지 A to Z ! (0) | 2022.08.23 |
나만 모르는 2022 근로장려금 지급일 확인방법 (0) | 2022.08.19 |
무소득자 대학생 청년 버팀목 전세 자금 후기 (0) | 2022.08.15 |
요즘 급등하는 lng 관련주 BEST5! (0) | 2022.08.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