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이 소득이 없고 대학생이라서 전세자금을 마련하지 못하는 경우에 신청할 수 있는 청년 버팀목 전세 자금에 대해 알아보고 개인적인 경험담을 통해 꿀팁들을 전수해드리겠습니다.
조건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을 만 19세 ~ 만 34세의 무주택인 청년이어야 되고, 연소득 5000만 원 이하, 순자산 약 3억 이하입니다.
최소 소득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무소득자여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대출 후기
청년 버팀목 전세 자금을 신청하기 전에 미리 서류를 구비하셔서 은행을 방문해보는 편이 좋았습니다.
왜냐하면 제가 원하는 집의 가격과 제 신용정보를 미리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최대 7천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하지만, 제가 구매하자 하는 집의 가격에 따라 대출금액이 달라지기 때문에 미리 확인해 볼 수 있었던 게 좋았습니다.
신청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이사하는 일정을 길게 잡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출기간이 최소 3주 정도 걸리기 때문에 이사 전 미리 신청하시는 편이 유리합니다.
최소 3번정도 은행을 방문할 일이 생기기 때문에 은행과 자신이 이사갈 지역과 가까울수록 좋습니다.
물론 대출을 신청을 많이 해보신 분들이라면, 헤매지 않고 깔끔하게 신청이 가능하겠지만, 처음 신청하시는 세대주 분들이라면 서류가 누락되는 일이 많이 발생해서 은행을 왕복하는 시간이 짧아질수록 유리합니다.
대출한도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은 최대 7천만원까지 임차보증금의 80%를 지원해줍니다.
하지만 무소득자인 경우 평균적으로 3천~4천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했었습니다.
아마 높은금액을 대출해주기에는 어렵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금리
대출금리는 1.5%~2.1% 낮은 금리로써 일반대출에 비해 부담이 적은 편입니다.
부부합산 연소득인 2천만 원 이하일 경우는 1.5%, 2천만 원에서 4천만 원 사이일 경우는 1.8%, 4천만 원에서 6천만 원의 범위일 경우에는 2.1% 금리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무소득자일 경우 1.5%의 금리만 발생할줄 알았으나 경우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직접 확인해 보셔야 됩니다.
서류
본인학인에 필요한 주민등록증, 주민등록등본, 재직 또는 사업영위를 확인할 수 있는 재직증명서 또는 사업자등록증이 필요로 합니다.
소득확인에 필요한 근로소득, 사업소득 증명서도 필요로 하지만, 이때 무소득자 혹은 대학생인 경우 신고사실 없음을 증명하는 서류가 필요합니다
더 많은 서류들이 필요로 해서 자세한 내용은 청년 버팀목 전세 자금 공식 사이트에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희망적금해지 방법 A to Z (0) | 2022.08.22 |
---|---|
나만 모르는 2022 근로장려금 지급일 확인방법 (0) | 2022.08.19 |
요즘 급등하는 lng 관련주 BEST5! (0) | 2022.08.11 |
은근히 모르는 추석 전 재난지원금 정리! (0) | 2022.08.09 |
꼭 해야 할 제주도 6차 재난지원금 신청방법은? (0) | 2022.08.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