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 조건 가입방법 날짜 정리! A to Z

by 더보아 2022. 10. 30.

시중에 고금리 예적금 상품이 쏟아지는 가운데, 최근에 다시 청년도약계좌 신청을 받는다는 소식이 들리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어떠한 혜택이 있는지 알아보고 신청 조건과 방법, 날짜 등 정리해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정리

청년도약계좌는 매달 최소 40만 원에서  최대 70만 원씩 5년 동안 적금을 하면 만기 수령액은 5천만 원을 받아갈 수 있는 정부지원 상품입니다.

만약에 매달 70만원 5년간 적금하게 된다면, 4200만 원이 모이게 되는데 이를 5천만 원으로 돌려준다고 하니, 대략 800만 원 정도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셈입니다.

게다가 매월 납부액에 대해 최대 6% 이자를 받으실 수 있어서 만기 수력액은 5천만 원 이상 받을 수 있는 금리가 무려 16%인 적금 상품입니다.

5년이라는 적금 기간이 부담스러울 수 있으나 800만 원을 지원 금로 받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 때문에 꼭 놓이지 않고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신청하기

 

국민은행을 비롯해 신한, 하나, 우리, 지방별 은행에서 신청을 받을 예정입니다.

가입방법은 비대면으로 어플을 통해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청일 당일에 누가 먼저 신청을 하느냐에 따라 선착순 마감이 될 것 같습니다.

신청 조건

청년도약계좌는 개인소득이 연 6천만 원 이하인, 1987년생부터 2003년생까지 분들이 시라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개인소득과 더불어 가구소득 또한 중위소득의 180% 이하를 충족해야 됩니다.

단 연소득에 낮을수록 더 많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어서 개인 편차가 있을 전망입니다.

연소득에 따라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지원금의 액수가 달라지고, 낮을수록 더 많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무직이나 알바같은 경우에는 연소득이 2400만 원 미만인 경우가 많아서 대부분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과 차이점은?

청년희망적금과의 차이점은 이자를 받을때 비과세 15.4%가 적용된다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청년희망적금이 만기일이 2년인 반면, 청년도약계좌는 5년으로 상대적으로 긴 시간을 납입하게 됩니다.

그래도 확실하게 더 큰 지원금을 받기 때문에 많은 인원이 신청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추가적으로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하신 분들이라면 이번에는 아쉽게도 신청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청년희망적금해지 방법 A to Z

청년희망적금 해지가 어려우신가요? 오늘은 간단하게 천년희망적금 해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중도해지 시 이율은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살펴봅시다. 청년희망적금 해지 방법 방법은 총

anytalking.tistory.com

언제부터?

신청일은 정확히 언제부터 가입이 가능한지는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았습니다.

이번 연도에는 실시되지 않을 예정이며, 늦어도 2023년 6월까지는 가입을 할 수 있게 출시할 예정이라고 발표된 상황입니다.

한편에서는 정부의 예산이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어, 아직 확실하게 2023년에 실시한다는 점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미리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내용들을 정리해놓는다면, 분명 좋은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