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리카 코인이 100% 이상 상승세를 보여주어서 업비트의 상위 거래량에 1위를 기록하였습니다.
질리카 코인의 전망에 대해 알아보고 코인 시세와 질리카의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질리카 전망
질리카 코인의 전망에 대해 언급드리면, '메타폴리스'가 어느 정도 흥행을 보여줄 수 있을지에 달렸습니다.
메타폴리스는 질리카가 운영하는 메타버스 게임이고, 메타폴리스에 대한 이야기는 뒤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질리카의 전망에 대해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완벽하게 전망이 좋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질리카는 가능성이 있는 코인인 것 같습니다.
질리카 코인 시세
아래 사진은 업비트에서 가져온 일봉 차트입니다.
질리카는 최근에 급등하고 120원대에서 머물러있는 차트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시세가 큰 상승을 준이후 그 가격대에서 떨어지지 않고 며칠간 유지를 하는 경우 더 큰 상승을 노려볼 수 있어서, 급등을 한 시점부터 시세가 어떻게 형성이 되는지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질리카 코인은 지난 21년도 상반기에 큰 상승세를 보여주었습니다.
30원대의 코인이 320원대로 상승하면서 거의 10에 가까운 상승세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상승세가 있고 2차 상승세가 현재라고 가정한다면, 현재 시세는 큰 상승을 보여주기 전 초반 단계라고 볼 수 있고 목표가는 400원대까지 바라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번이 큰 2차 상승이 아니고 조정일 가능성도 있어서 차트를 주기적으로 분석해봐야 됩니다.
질리카 코인 정보
차트 말고도 질리카 코인이 어떠한 이슈가 있고 무슨 장점이 있는지 알아보아야 됩니다.
만약 메타폴리스가 흥행할 경우 목표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메타폴리스
질리카는 샌드박스와 디센트럴랜드와 같은 코인을 모델로 메타버스 기반 코인을 꿈꾸고 있습니다.
샌드 코인과 디센트럴랜드 코인은 시세가 10배 이상 뛰어서 큰 화제가 되었던 코인인데, 질리카도 이러한 코인처럼 상승을 줄 수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질리카는 새로운 가상도시를 배경으로 한 3D NFT를 이용하여 메타버스 '메타폴리스'를 출시 예정이라고 합니다.
메타폴리스에서는 부동 상거래, 예술품 전시, 브랜딩 협업, P2E게임 등 유저들이 즐길 수 있고,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갈 예정입니다.
메타폴리스 출시일은 4월 2일 예정이 되어 있고, 메타폴리스에 대한 기대감으로 코인의 가격이 잠시 급등한 원인입니다.
메타폴리스에서는 질리카 코인을 대표 가상화폐로 지정할 가능성이 높은데, 메타폴리스가 어떠한 운영을 보여줄지에 따라 질리카 코인의 시세도 결정될 것 같습니다.
샤딩기술
질리카 코인은 지난 20년도에 300원까지 큰 상승세를 보여준 기록이 있었는데, 그때 호재가 바로 '샤 딩기 술'입니다.
샤 딩기 술은 수많은 코인들 중에서 가장 빠른 트랜잭션을 기록하였습니다.
현재는 질리카 보다 빠른 속도의 코인이 대거 등장했겠지만, 이 당시에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낮은 트랜잭션으로 인해 속도가 많이 느렸는데, 질리카는 샤딩기술을 통하여 혁신적인 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질리카가 빠른 속도를 얻을 수 있었던 이유는 채굴 네트워크를 여러 개 작은 그룹들을 만들어서 트랜잭션을 동시에 많이 처리하기 때문입니다.
질리카의 속도는 일반 신용카드의 거래속도와 비슷할 정도여서 당시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큰 혁신이었습니다.
상장된 거래소
좋은 이슈와 차트가 있다고 해서 코인 자체가 불안한 코인이라면 투자할 때 리스크가 있습니다.
하지만, 질리카는 전 세계 거래소에서 총 136곳에 상장이 되어서 안정적입니다.
질리카는 싱가포르에서 처음 시작이 되었으며, 중국 거래소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코인입니다.
국내 거래소
질리카가 상장된 국내 거래소를 살펴보면 국내 대표 4개의 거래소에 모두 상장이 된 상태입니다.
업비트, 빗썹, 코빗, 코인원 총 4개의 거래소에 상장이 되어있으며, 이렇게 국내 거래소에서 상장이 많이 된 경우 코인의 안정성이 입증이 되었다고 생각이 듭니다.
해외거래소
해외거래소는 대표적으로 바이낸스와 후오비 외 4곳에 상장이 되어있으며, 유명하지 않은 거래소까지 합하면 136곳에 상장이 되어 있어 있습니다.
질리카 시가총액
질리카의 시가총액은 1.8조 원으로 다른 소규모 알트코인들에 비해 상당히 큰 시가총액을 보유하고 있으며, 총발행 한도 210억 개 중 12억 개만 발행이 되어 있으므로 유통량이 적은 편입니다.
23년도까지 17억 개를 발행할 예정으로 코인의 발행을 적게 하여 희소성을 높이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질리카 상장폐지 가능성
질리카가 상장폐지가 될 가능성은 개인적으로 매우 적다고 생각합니다.
질리카는 국내외 136곳의 거래소에 상장이 되어있고, 시가총액도 조 단위이기 때문에 규모가 큽니다.
게다가 한때 세계에서 가장 빠른 트랜지션 기술을 보유하였고, 최근에는 메타버스를 출시에 임박하였기 때문에 질리카의 전망 또한 좋습니다.
다만 전고점 300원대를 돌파하는 강한 2차 상승이 나타날지는 조금 지켜보아야 될 것 같습니다.
질리카 로드맵
질리카는 공식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향후 질리카의 운영계획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1. 신규직원 채용
먼저 직원 10명을 추가 채용하여 기업의 규모를 점점 늘려나갈 계획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향후 100명까지 직원을 확장하여, 본격적인 질리카의 메타폴리스 운영에 이바지할 계획입니다.
2.E스포츠 게임사 협업
질리카는 혼자서 운영하기보다는 다른 게임사와 협업을 통해 많은 대중들의 관심을 모을 계획입니다.
아직 구체적인 E스포츠 기업명은 언급된 바 없지만, 메타폴리스가 정상적으로 운영이 되면서 이후 활발한 파트너십 계약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합니다.
3. 질리카 캐피탈
질리카는 질리카 캐피탈을 설립하여 질리카에 투자를 희망하시는 분들을 위한 디파이 프로젝트를 기획 중입니다.
아직 구체적으로 어떠한 투자방식을 채택하였는지는 발표되었지 않았지만, 먼저 흥행했던 메타버스 게임인 샌드박스와 디센트럴랜드를 살펴보면 코인을 스테이 킹 하는 방식도 도입될 것이라 전망합니다.
4.NFT 아티스트 협업
메타버스와 NFT 사이에는 서로 상호호환적인 관계입니다.
그래서 메타폴리스 내에서 NFT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때 해외 NFT아티스트들과 협업하여 NFT시장에서 메타폴리스가 주목을 받게 될 전망입니다.
"투자 판단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