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스테픈을 바라보는 M2E게임 AGLE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GLET M2E
AGLET은 걸어서 돈을 버는 애플리케이션으로 move to earn의 줄임말 'M2E'게임입니다.
어글렛 어플을 통해 걸어서 지도상 표시되는 상자를 통해 포인트와 신발을 획득 가능합니다.
어글렛 어플은 플레이스토어에 AGLET를 검색하신 후 다운로드하는 다음, 간단한 이메일 인증을 통해 시작 가능합니다.
초기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스테픈과 비교해보면 더 쉽게 시작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아직 어글릿의 구체적인 수익창출 방안은 나오지 않고 있지 않습니다.
AGLET 신발
어글렛은 직접 걷는 플레이를 통해 자신만의 스니커즈 운동화 등 다양한 컬렉션을 만들어 나갈 수 있습니다.
또한 뉴발란스, 아디다스, 반스 등 유명 신발 브랜드와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어글렛을 통해 만나볼 수 있습니다.
AGLET 신발은 등급이 나누어져 있으며, 등급이 높을수록 걸어서 벌 수 있는 포인트의 수량이 증가합니다.
신발에는 내구도가 존재하며 지도상 내구도를 회복하는 장소에 도착하면 내구도 수리가 가능합니다.
AGLET 로드맵
현재 어글릿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재화와 가상화폐와 바꿀 수 있는 방법은 없으며, 추후 어글렛 코인을 만들어서 다른 가상자산과 교환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로드맵 구상 중입니다.
어글릿 신발 NFT는 아직까지는 단순 소장용이며, NFT 마켓플레이스에서 판매가 가능하게 만들 계획입니다.
2022년 4분기 오픈 시 NFT 마켓플레이스에 등록될 예정입니다.
AGLET NFT
어글렛 신발은 마켓에서 구매 가능한 일반 신발과 nft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신발이 나누어져 있습니다.
어글렛 NFT는 일반적인 신발보다 등급이 높아 더 많은 포인트를 채굴 가능하며, 내구도가 높습니다.
어글렛은 총 2개의 재화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RA는 걸어서 얻을 수 있는 포인트고, 골드 애글릿(GA)는 현금결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포인트입니다.
GA를 통해 NFT 신발을 구매 가능합니다.
NFT 신발 구매를 하기 위해서 민팅을 진행해야 합니다.
민팅은 정해진 수량을 두고 선착순으로 AGLET NFT를 발행하는 시스템입니다.
최근에는 5월 15일에 진행하였으며, 추가로 민팅을 진행할 가능성이 높으니 AGLET 공지사항 및 SNS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현재 걸어서 돈을 버는 M2E시장은 초기 시장으로 AGLET을 통해 먼저 선점하려는 분들이 많습니다.
다만, AGLET이 어느 정도의 가치가 될지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바로 수익이 가능한 스테픈과 다르게 AGLET은 아직 수익창출이 되지 않기 때문에 현재 모은 포인트가 미래에 현금으로 교환이 가능할지는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AGLET을 이용하시는 분들은 객관적인 시선으로 M2E를 바라보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댓글